지구과학 만점을 비추는 태양

지구과학I 6종 교과서, 지구과학II 4종 교과서 분석

개정 지구과학의 가장 정확한 개념과 용어 전달

수험생들이 주어진 시간 동안 오개념에 낭비하는 시간이 없도록 6종 출판사를 분석 후 논리적 사고력에 입각하여 가장 수능에 적합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강의합니다.

출제자도 놓친 오류를 바로 잡은 깊이 있는 분석

270x50
270x50

출제자도 놓쳐버린 문항 오류를 2회에 걸쳐 박선 선생님이 바로 잡았습니다.
문항마다 학생들이 간과하기 쉬운 함정을 빠르게 캐치하며,
쉽게 범하는 실수나 사례들을 분석하여 같은 실수는 반복하지 않도록 합니다.

교재 안내 2024

Happy Student

수강 후기 더보기

학습 Q/A


보라색으로 적은게 질문입니다 !

 공개

ㄱ 해설이 A지역이 60도보다 저위도이기 때문에 극동풍이 아니라고 되어 있는데

계절에 따라 태양 입사각으로 인한 열대 수렴대의 위치가 바뀜에 따라 해들리, 페렐, 극순환세포의 경계위도도 바뀌므로 

단순히 위도로 판단하는 것 보다는 기압선을 통한 바람의 방향으로 바람종류를 파악하는게 정확한 것 아닌가요?

 공개

문제에서 A와 B의 단위 시간동안 방출한 복사 에너지의 파장에 따른 세기를 제시해주었는데 
왜 ㄷ선지는 광도로 크기를 비교하나요?
표면온도의 4제곱으로 비교를 하면 안되는 건가요? 아직도 개념이 헷갈리는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공개

ㄷ최소 융기 횟수= 침식면 수인데 나무 있는 거랑 암모나이트 밑에 있는거 최소 융기 횟수 2개 아닌가요?
만약 A위 이암층이 부정합면이라 최소 융기 횟수 2회가 틀린 거라면 
A가 화성암이니 순식간에 관입한 후 이암층이 바로 쌓이는 경우는 생각하지 않는 건가요?


 공개